하늘길이 막혔다. 언제 열릴지 모른다. 육지길도 막혔다. 총리는 국내 여행도 취소하라고 압박한다. 문득 문득 그 때가 좋았다는, 그때가 간절히 그리워진다.
유럽 갈 때는 우선 아이슬란드 레이카비크로 간다. 레이카비크에 내리면 유럽에 온 걸 환영한다는 의미로 여권에 도장을 찍어준다.
이 도장이 있으면 셍겐(Schengen Agreement) 조약에 가입한 유럽의 여러 나라를 별도의 입국, 출국 수속없이 여행할 수 있다. 이 조약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나라, 예를 들면 우크라이나를 여행하려면 그 나라 고유의 입국 출국 수속 절차를 거쳐야 한다.
레이카비크 공항 보세구역에서 파리 행 비행기를 기다리는 동안에는 공항 와이파이를 이용해 주로 한국 프로야구를 시청한다. 다른 팀에는 관심 없고 SK 야구 경기를 본다. SK가 이길 때는 유달리 커피 맛이 좋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xt8zy/btqUo8Y3IVS/5RhlgwV8taPfOObJRYVE8k/img.jpg)
레이카비크 공항버스 이걸 타고 다음 행선지로 이동한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cnKWBU/btqUEAlmNf9/NfAxKrkjk1voGAXI82NRAK/img.jpg)
환승 서비스를 이렇게 한다. 아날로그 방식에 익숙한 내게는 이런 촌티나고 덜 세련된 환승 서비스가 더 친근하게 느껴진다.
파리에 도착하면 예약해 놓은 에어비앤비를 찾아가 짐을 풀어놓고 페르 라세(Pere Lachaise) 공동묘지를 찾아가 ‘꼬뮌 전사들의 벽’에 흰 장미 송이 놓아주고 돌아와 쉬면서 맥주 한잔 하면서 여독을 푼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부터 정해진 계획에 따라 기차, 버스 혹은 저가 항공을 이용해 유럽 방방곡곡을 여행한다.
한 달 일정으로 파리-스트라스부르-잘츠부르크-프라하를 여행할 때 생긴 일이다. 프라하에서 파리까지는 저가항공 표를 샀다. 유럽은 기차요금이 비싸고 버스 요금은 상대적으로 싼데 저가항공을 5개월 전에 예약하니 버스요금 보다도 쌌다. 가격은 싼데 일정변경이나 환불을 안되는 아주 악조건 항공권이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cv3MKT/btqUzuFYro2/K1r1N4iGloDSujYjr5erwK/img.jpg)
꼬뮌 전사들의 벽에 헌화를 하고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ksZGL/btqUvEoNG9J/0ciFpP4lDKCIcqceemYTC1/img.jpg)
스트라스부르 기차역 앞에서 만난 보이/걸 스카우트. 나도 저 나이때 저렇게 다녔다. 인솔 교사 따라서.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안에 있는 독일이다. 역사적으로 수 없이 프랑스 영토, 독일 영토로 바뀌다 2차대전 후 프랑스 영토가 되었다.
보불전쟁 이후 주눅이 들었던 프랑스 국민의 애국심을 최고로 올려 놓은 알퐁스 도데의 월요 이야기 배경 도시다.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이고 살벌한 적의가 가득한 프랑스 국가가 이 도시에서 탄생했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nh1qP/btqUuMAIUif/870BdEeynlUFpol4W1k6xK/img.jpg)
사운드 어브 뮤직의 온상 미라벨 정원에서 바라본 잘츠부르크 상징 호헨 잘츠부르크 성. 2차대전 때 히틀러가 오스트리아 협박할 때 잘 써먹었다. "항복 안 하면 전폭기로 성을 파괴하겠다." 울며 겨자 먹기로 항복해야지.
![img.jpg](https://blog.kakaocdn.net/dn/2jrUC/btqUwzgua59/RRar2oN1g4HqlyOWUmuiJK/img.jpg)
호헨 잘츠부르크 성 마당에는 수백년 된 보리수가 있다. 슈베르트가 이 나무 아래서 영감을 얻고 보리수를 작곡했다는데 이런 선의의 구라는 속아주는 게 좋다. 잘츠부르크는 음악의 도시니까 사운드 오브 뮤직과 모짜르트 가 먹여 살려주는 도시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3y8gd/btqUEAZZ4UZ/SnLMgvKTlESEYrDclZx8H0/img.jpg)
잘츠부르크에서 프라하 오는 길에 체스키 크롬로프 들러 전설처럼 아름다운 옛 도시를 구경한 것은 행운의 보너스였다. 프라하 구 시장 광장에 종교 개혁가 얀 후스의 동상이 있다. 후스는 교황청의 부패를 비판하다 화형 당했다. 교황청에 당한 게 후스 한 사람이 아니지만 말이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Och6J/btqUsekodhj/C3OtvDp6ZhqC2SnDBLgKy1/img.jpg)
체코 민주화 성지 바츨라프 광장. 오른쪽 보도와 왼쪽 보도의 보도석이 다르다. 왼쪽은 돌로 만들어진 보도석이고 오른쪽은 시멘트로 보도를 깔았다. 프라하의 봄 당시 바르사바 조약군이 탱크로 인도에 누운 시위대를 깔아버렸다. 그 비극을 잊지 않기 위해서 보도석이 다르다.
일정대로라면 프라하에서 마지막 밤을 보내고 다음 날 아침 프라하 공항에서 비행기 타고 파리 가서 2-3시간 기다렸다 캐나다 오는 비행기 타면 되는 거다.
프라하를 떠나기 이틀 전 저녁에 호텔 주인이 맥주 한잔 하자고 부른다. 방을 나가려는 데 왠지 비행기표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표 사 놓고 몇 번 확인을 했지만 또 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나가다 말고 다시 들어와 가방에서 표를 꺼내 보던 나는 거의 기절할 뻔했다. 프라하 공항 출발이 분명히8:00 a.m이었는데 이제 보니 p.m.이다. 눈을 비비고 몇 번을 봐도 끝에 p.m.이다. 그렇다면 5개월 전에 표를 사놓고 여태껏 표 확인하면서 내가 뭘 확인했다는 건가?
‘밑져야 본전’이란 말은 이럴 때 유효하다. 우선 항공사로 전화해서 물어보니 당연히 환불이나 일정변경은 안된다고 확인해준다.
비싸게 구입한 표가 아니니까 포기하고 비행기표를 다시 사려고 물어보니 내가 타야하는 시간대 항공권은 이미 부킹이 끝났고 공항에서 기다리다 ‘no show passenger’ 가 나오면 그걸 타라고 친절하고 자상하게 일러준다. 그 방법은 확률이 떨어지는 도박으로 잘못되면 캐나다 오는데 지장을 초래한다.
입맛이 쓴데 쓴맛이 더한 체코 맥주가 들어가니 입맛이 더욱 썼다.
다음날 일어나자 마자 프라하 중앙역으로 가서 파리 행 기차표를 알아보니 입석이고 좌석이고 만원 사례다. 눈썹을 휘날리며 버스 정거장으로 달려갔다. 파리 행 버스를 주 욱 보니 오늘 저녁에 출발해 내일 아침 파리 갈리에니 버스 터미널에 도착하는 유로라인 버스가 있다.
창구에 가서 내일 아침 파리 도착 시간을 물어보니 아침 8시30분이면 도착한다고 말해준다. 두 말할 필요없이 표를 샀다. “내 팔자에 무슨 비행기냐? 버스도 감지덕지다.”라는 심정으로.
호텔로 돌아가 주인장하고 점심을 같이 먹고 주인장이 몸소 버스 정거장까지 나를 태워주었다. 체코 맥주라도 몇 병 살까 하다 맥주 마시면 취하지도 않으면서 화장실이나 들락날락 해야 하는데 그것도 남들 귀찮게 만들고 폐 끼치는 거다. 그래서 작은 위스키를 샀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7EkGD/btqUtVYVRo1/Vd6PAm9nPuP07u6x5x5TpK/img.jpg)
프라하 플로렌스 버스 터미널, 유로라인이 나를 파리까지 모셔다 주었다.
옆자리는 비었다. 밤이라 경치 볼 일도 없어 소시지 안주삼아 위스키 홀짝 홀짝, 잠이 들었다 깼다를 반복하며 비몽사몽을 헤매다 동틀 무렵에 되니 잠이 완전히 달아났다. 언제 인지 모르게 프랑스 땅에 와 있다.
어느 도시에서 버스가 섰다. 몇 명이 내리고 몇 명이 탄다. 버스 운전사가 프랑스 말과 영어로 쉬어 간다고 알려준다. 버스에서 내리니 몸은 찌뿌둥하고 양치를 안 해 입안이 텁텁했으나 서늘한 새벽 공기에 으스스 몸이 떨리면서도 정신이 상쾌해진다.
커피를 한잔 했으면 이란 생각이 들었으나 곧 포기했다. 에스프레소 체질은 아니고 아메리카 커피(아메리카노가 아니고)는 맥도날드 가야 마실 수 있는데 어느 구석에 맥도날드가 있는 지 알 수가 있나.
버스는 예정된 시간에 맞춰 갈리에니 버스 터미널에 나를 내려주었다. 앞으로도 갈 길이 멀지만 마치 에드먼턴에 다 온 기분이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