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쯤 전부터 지하에서 냄새가 좀 나더니 몇일전에 여기저기 체크해보니 카펫이 약하게젖어있고 바닥몰딩에 물자국들이 있어 심하게 보이는곳 카펫을 조금 뜯어봤더니 벽면 바닥에 물이 스며들었는지 꽤 젖어 있네요. 창문으로들어온 흔적도 없고 샴펌프쪽도 문제없어보이고 여러군데 물어보니 벽면에서 타고 들어왔을수도 있다고 하는데 지하벽면 거의 전체를 빙 둘러서 이러니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보험쪽은 벽을타고 들어온 것은 보상할수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하고..
일단 젖은 바닥 카펫을 다 들러내고 바닥몰딩도 뜯어내고 지하벽을 전체적으로 2 피트 정도 전부 짤라놓고 어디서 물이
seepage로 구글 검색해보시면 정보가 많습니다. 벽면의 작은 구멍을 뚫고 들어올 수도 있구요,
창문틀 사이의 틈을 따라 들어올 수도 있는데 window well cover를 설치 혹 교체, 수리를 하셔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보험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seepage는 보험으로 커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압니다.
저의 경우 지하는 아니지만 방에 물이 들어 카펫이 젖으니 모두 걷어내고 벽면 높이별로 몇군데에서 샘플을 채취해 습기여부에 따라 drywall을 4ft 걷어낸 후 히터를 설치해 한동안 말린 후 작업했습니다.
오래된 집인 경우 벽면 drywall에 석면이 함유되어 있으면 전문업체가 해야 하구요.
(저는 seepage가 아니어서 다행히 보험으로 처리했는데, 보험회사에서 보낸 adjuster가 나와보고 restoration 회사를 불러 알아서 처리했습니다.)
베이스먼트에 샤워실이 있고 샤워실이 10년이상 되었으면 샤워실 바닥의 방수포가 (샤워실 바닥 타일/콘크리트 아래에
깔려있음) 삭아 샤워실 바로 옆 벽을 타고 물이 들어오는 사고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특히 이 샤워실에서
매일 오랜시간 샤워하는 자녀가 있다면 자주 발생할수있는 사고입니다. 저도 몇년전 글쓴분 같이
지하실 water damage사고가 있었는데 원인이 바로 샤워실이었습니다
창문틀 사이의 틈을 따라 들어올 수도 있는데 window well cover를 설치 혹 교체, 수리를 하셔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보험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seepage는 보험으로 커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압니다.
저의 경우 지하는 아니지만 방에 물이 들어 카펫이 젖으니 모두 걷어내고 벽면 높이별로 몇군데에서 샘플을 채취해 습기여부에 따라 drywall을 4ft 걷어낸 후 히터를 설치해 한동안 말린 후 작업했습니다.
오래된 집인 경우 벽면 drywall에 석면이 함유되어 있으면 전문업체가 해야 하구요.
(저는 seepage가 아니어서 다행히 보험으로 처리했는데, 보험회사에서 보낸 adjuster가 나와보고 restoration 회사를 불러 알아서 처리했습니다.)
깔려있음) 삭아 샤워실 바로 옆 벽을 타고 물이 들어오는 사고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특히 이 샤워실에서
매일 오랜시간 샤워하는 자녀가 있다면 자주 발생할수있는 사고입니다. 저도 몇년전 글쓴분 같이
지하실 water damage사고가 있었는데 원인이 바로 샤워실이었습니다